앞으로 한국 부동산 집값 더 떨어진다
작년부터 떨어지기 시작한 한국 부동산 시장 가격이, 다시금 한국 부동산 시장이 다시 상승국면으로 돌아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서울의 송파구와 세종, 용인 등의 지역이 가장 강한 반등을 보이고 있습니다.
송파구는 부동산 가격이 상당히 빠진 후 이제 상승세를 타고 있고, 이를 주도하고 있는 세종과 용인은 각각의 특별한 요인들 때문에 더욱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용인시 부동산 시장은 용인시에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이 발표된 이후, 주택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아졌습니다. 삼성전자와 정부는 이 일대에 약 300조 원을 투자해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기로 합의했으며, 이로 인한 반세권 효과가 처인구의 주택가격을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일부지역의 부동산 시장 가격이 상승 했다고 해서, 앞으로 한국 부동산 시장이 다시금 반등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일부에서 나오지만, 그렇게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릅니다.
현재의 부동산 시장은 '데드캣 바운스' 상황, 즉 주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다가 갑자기 몇개의 이유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자산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금리는 여전히 불안정하고, 가계는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구매력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는 것은, 앞으로 좋아질 만한 반등의 기회가 없어 보인다는 것입니다. 현재의 부동산 가격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상당히 하락했으나, 여전히 고평가 상태에 있습니다. 그렇기에 사람들이 부동산을 구매하려고 하는 의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시장 상황에 적극적인 투자 보다는 보수적인 접근을 추천하며, 향후 금리 및 경제 지표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한국 부동산 시장은 지난 수년 동안 저금리 시대를 경험해 왔고, 이는 2014년부터 급증한 전세자금 대출과 함께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견인하였습니다. 하지만 점차 저물가와 저금리 시대가 끝나가는 추세이며, 이는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매하는 수요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이자의 부담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서울의 평균 월 매매 거래량은 5962건이나, 지난 3월에는 3047건으로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통계가 시장이 크게 상승하는 대세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보통 장기적인 상승세는 1년 이상의 거래량 증가와 함께합니다.
그러나 올해 2~3월 전세 거래량은 평균보다 높았습니다. 이는 전세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음을 의미하며, 그 결과로 전세를 찾는 수요가 늘어났습니다.
그렇지만 전세 가격의 상승이 매매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전세 가격과 매매 가격 사이의 격차가 크기 때문에, 먼저 전세 시장이 안정되어야 합니다. 매매 가격의 안정 역시 가격이 다시 하락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정부에서는 전세 가격과 매매 가격의 차이가 없을 거라고 예상하고, 대출을 받아서 집을 구매하라고 독려하지만, 사람들은 그럴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에서는 특별한 반응이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
현재 사람들의 소득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정부의 특별보금자리론 같은 부양정책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최근의 거래량은 20년 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앞으로 집값은 20~40%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 부동산 시장의 가격은 점점 더 내려갈 것으로 보이며, 한국의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몰려 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도 큰 충격이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